자료실
[더알음교육] 사례관리를 위한 자원개발과 관리
유현주 2018-07-13

1. 자원이란?

① 자원의 개념 : 대상자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수단

② 보호요인 + 예방요인 + 물질적 자원 + 비물질적 자원

 

2. 자원 사정과 개발

① 자원사정이란? what 환경의 파악 + why 장애요인 규명 + how 접근방법의 규명

② 자원사정의 단계

- 현재까지의 자원을 분석함

- 자원접근과 상호작용의 장애물을 규명함

- 해결 대안을 개발함

 

3. 자원개발과 관리란?

① 자원개발은 자원범주 별 필요한 자원의 목록을 설계하는 것이다.

② 자원개발은 자원의 출처를 알아내는 것이다.

③ 자원개발은 자원에 접근하여 자원으로서의 반응역량을 만들어내는 것이다.

④ 자원관리란 자원과 자원수혜자 즉 대상자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뤄지도록

중재, 옹호, 의뢰, 중개, 기타 지원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다.

⑤ 자원관리란 자원간의 협력이 용이하도록 점검, 조정 하는 것이다.

⑥ 공식적 자원의 개발은 운영체계를 구조화함으로써 가능하다.

⑦ 비공식 자원의 개발은 다양한 지역조직 기술을 활용한다.

 

4. 자원관리 전략

영역

전략

기대효과

자원 접근성 높이기

중개 / 의뢰

공식적 대인서비스 획득

자원의 반응역량 강화하기

옹호

점검 / 조정

사회적망 개발과 지원

서비스 이용성과 접근성 증가

서비스 제공자들의 팀워크 보장

지원의 출처의 증가

 

5. 공식자원 네트워크 개발하기

① 공식자원개발을 위한 개발자 역할은 기존의 개별적 서비스 주체들이 자원망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반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.

② 내부 운영체제(공공의 사례관리시스템)의 자원 반응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을 이해한다.

③ 외부 자원망(민간 자원망)의 유형과 기능을 이해한다. 특히, 사례 발굴 네트워크 의 중요성을 가조한다.

④ 외부 자원망 구축 전략과 성공원칙을 이해한다.

⑤ 자원간의 조정 전략 중 민간자원의 입장을 이해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.

⑥ 자원간의 조정 전략 중 사례관리 거점 기관간의 조정 도한 자원개발자의 역할로 인식한다.